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대기' 태그의 글 목록

대기 9

엄폐 현상 활용한 NASA, 천왕성 대기 고도별 정밀 분석 성공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엄폐 현상 활용해 성층권 구조 및 고리 정보 획득2025년 4월, 천왕성이 약 400광년 떨어진 별 앞을 지나며 '엄폐 현상'이 발생했다. NASA는 이 정렬을 활용해 천왕성 대기에서 별빛이 굴절되는 과정을 관측했고, 이를 통해 고도별 온도와 압력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했다. 이번 관측은 1996년 이후 처음으로 수행된 대규모 천왕성 대기 분석 캠페인이었다. ​엄폐 현상을 통한 대기 분석엄폐 현상은 외행성이 지구에서 볼 때 먼 별 앞을 통과하며 그 별빛을 가리는 천문 현상이다. 이때 별빛은 행성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굴절되고, 밝기가 점진적으..

과학 상식 2025.04.28

오존층 파괴의 원인 이론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오존층 파괴의 원인에 대한 이론 21세기가 시작되기 전부터 인류는 오존층 파괴와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와 같은 큰 재앙을 염려하게 되었다. 지구를 둘러싼 대기권은 대류 현상이 일어나는 대류권(對流圈)과 그 위의 성층권(成層圈)으로 크게 나뉜다. 성층권은 지상 10~50km 높이의 대기층이다. 이곳 대기층에는 오존(ozone)이 유난히 많이 포함되어 있어 ‘오존층’이라 불리기도 한다. 프랑스의 과학자가 1913년에 처음 발견한 이 오존층에는 대기 전체 오존의 약 91%가 모여 있다. 오존층은 지구상에 사는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들을..

과학 상식 2025.04.24

지구를 생명체로 보는 '가이아 가설'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를 거대 생명체로 보는'가이아(Gaia) 가설' 영국의 환경과학자인 제임스 러브로크(James Lovelock 1919- )는 지구의 환경 변화에 대한 ‘가이아 가설’(Gaia hypothesis)을 1972년에 발표했다. 그는 지구를 생명체처럼 생각하여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 “지구는 생명체와 환경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생명체와 같은 시스템이다. 그러므로 지구라는 생명체는 스스로 적응하며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만일 지구의 시스템이 파괴된다면, 지구는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이 있다. 인간은 자신들을 지구의 주인이라 생각하지만..

과학 상식 2025.04.24

머시볼, 목성 대기의 수직 구조 해석을 바꾸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가스 행성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이지만, 그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는 여전히 많은 부분이 미지로 남아 있다. 대기 상층은 끊임없이 회전하는 소용돌이와 띠 무늬로 덮여 있고, 이 역동적인 겉모습 아래에는 상상보다 복잡한 기상 현상이 감춰져 있다.​최근 UC버클리 연구진은 목성 대기 깊이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기상 현상을 ‘머시볼(mushball)’이라는 복합 얼음 구조로 설명했다. 암모니아와 물이 결합해 형성된 이 구조는, 우박과는 다른 방식으로 대기 성분을 아래로 운반하며 수직 분리와 암모니아 고갈을 유발한다. ​머시볼(mu..

과학 상식 2025.04.17

프록시마 센타우리 플레어, 생명 거주 가능성 위협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에서 약 4.2광년 떨어진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우리와 가장 가까운 별이다. 작은 M형 적색왜성이지만, 최근 ALMA(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전파망원경) 관측을 통해 이 별이 예상보다 훨씬 강력하고 빈번한 플레어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프록시마 센타우리는 지구형 외계 행성 프록시마 b를 거느리고 있다. 그러나 별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플레어는 행성 대기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어, 생명체 거주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밀리미터파 관측으로 드러난 플레어의 빈번한 폭발콜로라도 대학교 키아나 버튼과 존스 홉킨스 대..

과학 상식 2025.04.16

아르테미스 기반 초대형 간섭계, 달에서 별·은하 관측한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달이 우주의 착륙지로서뿐 아니라, 정밀 우주 관측의 거점으로 거듭날 계획이다. NASA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통해 사람이 머무를 수 있는 달 기지를 구축하고, 그 위에서 다양한 과학 활동을 수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그중 하나가 바로, 달을 활용한 초고해상도 천체 관측이다. 달에는 대기가 없어 별빛이 흐려지지 않고,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망원경을 설치하면 공기 흔들림 없이 광학 관측이 가능하다. 중력도 있어 정밀 장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지구나 궤도 위성으로는 어려운 짧은 파장의 빛까지, 더 높은 해상도로 포착할 ..

과학 상식 2025.04.14

미세플라스틱, 조류 폐에도 가득 쌓였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알고 보면 우리는 매일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다. 물, 공기, 음식, 심지어 소금과 과일에서도 발견되는 이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은 우리 몸속으로 차곡차곡 쌓인다. 당장은 별 탈이 없어 보이지만, 몸속에 축적된 미세 플라스틱은 우리 몸 곳곳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공기 중을 떠도는 미세한 플라스틱 입자가 야생 조류의 폐에 축적되고 있다는 결과가 밝혀졌다. 플라스틱 오염이 인간을 비롯한 생태계를 병들게 하고 있다는 증거다. ​폐 조직 1g당 400개 이상의 미세 플라스틱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캠퍼스(UTA)의 생물학 ..

과학 상식 2025.04.07

온실효과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아르헤니우스의 온실 효과(Greenhouse Effect) 이론   ‘온실효과’, '지구 온난화', '온실가스'는 오늘날 뉴스 보도에 가장 자주 등장하는 환경 용어로서, 전 인류가 걱정하는 문제의 하나이다. 온실가스(greenhouse gas)가 증가함에 따라 지구의 평균 기온이 오르자, 남북극 지역의 빙하와 빙산이 대규모로 녹아 전체 바다의 수면이 높아지고 있으며, 동시에 태풍과 홍수, 폭설, 한발 등의 기상 변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하와이 섬의 모우나 로아(Maouna Loa) 화산에 있는 관측소의 조사에 따르..

과학 상식 2025.03.27

섭씨온도와 화씨온도의 관계는?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섭씨온도계와 화씨온도계의 눈금  대기의 온도를 측정한 기온은 기상관측에 꼭 필요하다. 온도의 측정단위는 과학 연구에 중요한 기준의 하나이다.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에는 섭씨온도(Celsius scale)와 화씨온도(Fahrenheit scale)가 있다. 오늘날 국제적으로는 섭씨온도를 사용토록 정하고 있으나, 미국을 비롯한 일부 나라에서는 오랜 관습 때문에 화씨온도를 사용하고 있다. 섭씨온도는 물이 어는 온도를 0도로 하고, 물이 끓는 온도를 100도로 정하고 있다. 다시 말한다면 물이 어는 온도와 끓는 온도 사이를 ..

과학 상식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