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포식자' 태그의 글 목록

포식자 6

카리브해 세베키드 화석 발견, ‘섬엔 대형 포식자 없다’ 통설 뒤집어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육상에서 활동하던 고대 민첩형 파충류 세베키드 카리브해 섬 생태계에 대형 포식자 존재 입증카리브 고생물학의 시간적 공백 보완​대형 육상 포식자는 섬 생태계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고생물학에서 오랜 시간 받아들여져 온 전제였다. 바다로 고립된 섬에는 큰 몸집의 육상 동물이 진입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최근 도미니카공화국에서 발견된 고대 파충류 세베키드의 화석은 이 통념에 균열을 일으켰다.​세베키드는 공룡 멸종 이후 남아메리카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한 육상 파충류다. 몸길이 6미터에 달하는 종도 있었고, 긴 다리와 강한 턱, 고기..

과학 상식 2025.05.08

상어 뒤 숨어 사냥하는 물고기 포착···사냥률 높이고 에너지 절약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상어 뒤에 숨어 몰래 사냥하는 물고기가 포착돼 눈길을 끈다. 포식자를 피하면서 사냥감에도 눈에 띄지 않아 높은 사냥 성공률을 보였다.​에든버러대학교를 포함한 국제 연구팀은 지중해에서 모래상어(sandbar shark)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행동을 발견했고 최근 밝혔다. 다이버와 원격조종 잠수정이 촬영한 영상에는 작은 포식성 어류인 블루 러너(blue runner)가 상어를 은폐막으로 활용해 먹이를 노리는 장면이 담겼다.​이전에도 일부 물고기가 상어 주변을 맴돌며 기생충을 제거하거나 포식자를 피하는 사례는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사..

과학 상식 2025.04.17

포식자 없는 도심, 화려한 새들이 더 잘 적응한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화려한 깃털을 가진 새들이 도시 환경에 더 잘 적응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도시는 회색빛 환경에 포식자가 적어, 눈에 띄는 깃털을 가진 새들도 생존에 불리하지 않다. 이 때문에 갈색 깃털을 가진 새들은 도시에서 밀려난 것으로 나타났다.​스페인 그라나다 대학교와 독일 막스 플랑크 생물지능연구소 연구팀은 1,200종 이상의 새를 분석해 도시화와 깃털 색 사이의 연관성을 밝혔다. 연구 결과, 도시에 적응한 새일수록 갈색 비율이 낮고 깃털은 더 화려했다. 이 연구는 과학 저널 Ecology Letters에 실렸다. ​포식자 감소, 회색빛 도심..

과학 상식 2025.04.16

상어 멸종 위기, 사라지는 최상위 포식자···무너지는 해양 생태계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어획으로 인해 급감하는 상어 개체수단순 방류로는 멸종 방어 역부족먹이사슬 불균형, 해양 생태계 연쇄 영향 ​상어는 오랫동안 바다의 포식자로 군림해왔지만, 인간으로부터 훨씬 더 큰 위협을 받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상어 종의 약 3분의 1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가장 큰 원인은 어획이다. 최근 UC 산타바바라 대학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어업에서 포획된 상어를 단순히 방류하는 정책만으로는 이들의 개체수 감소를 막기에 역부족이다. 해당 연구는 국제 학술지 Fish & Fisheries에 게재되었으며, 상어 보존을 위한 종합적인 ..

과학 상식 2025.04.07

벌새 새끼의 기묘한 위장술, 애벌래 위장해 포식자 속인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중앙아메리카 파나마의 열대 우림 한가운데, 갓 태어난 벌새 새끼의 행동이 생태학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손바닥보다 작은 둥지 안에서 새끼 벌새가 몸을 움찔거리며 머리를 흔들고 있었다. 마치 독성이 있는 애벌레처럼 보였다. 포식자가 다가오자 새끼는 더욱 격렬하게 움직였고, 결국 포식자는 머뭇거리다 떠났다. 연구자들은 이 행동이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전략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벌새 생존 본능, 순발력 발휘해 위장 기술 펼쳐 흰목자코뱀벌새(white-necked Jacobin hummingbird)는 중남미의 작은 새로, ..

과학 상식 2025.04.02

독립영양생물, 종속영양생물, 혼합영양생물 어떻게 다른가?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생물의 세계에는 식물처럼 스스로 영양분을 생산하는 생명체, 그런 식물을 먹거나, 자기보다 약한 동물을 잡아먹거나, 죽은 동물이나 식물을 분해하거나, 동식물에 기생하는 생명체도 있다.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스스로 만드는가? 영양분을 가진 다른 생물을 포식하는가? 두 가지를 다 하는가?에 따라 독립영양생물, 종속영양생물, 혼합영양생물로 구분한다. 독립영양생물 식물은 태양 에너지로 이산화탄소와 물이라는 단순한 물질을 결합하여 탄수화물과 지방질을 만들고, 몇 가지 무기물을 합쳐 단백질과 기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다. 이처럼 광합성(또는 화학합성) 능력을 가진 생명체를 독립영양생물(au..

과학 상식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