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허블' 태그의 글 목록

허블 10

우주가 정말 돌고 있다면? 허블 텐션에 대한 새로운 접근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현대 우주론의 핵심 가정 중 하나는, 우주는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으며 이 팽창 속도는 정밀하게 측정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까지 진행된 다양한 관측 결과들은 이 가정을 흔들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허블 텐션(Hubble tension)’이다.​허블 텐션은 우주의 팽창률을 측정하는 두 방법이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제공하면서 생겨난 이론적 충돌이다. 한쪽은 초신성과 은하 관측을 통해 최근 수십억 년 동안의 팽창 속도를 측정하고, 다른 한쪽은 우주배경복사(CMB)를 바탕으로 초기 우주의 팽창률을 추정한다. 이론적으..

과학 상식 2025.04.17

천왕성 자전의 비밀 허블이 풀었다···40년 만에 새 기준 제시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천왕성은 자전축과 자기장이 극단적으로 기울어져 있어, 내부 구조와 회전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국제 연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의 장기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천왕성의 자전 속도를 사상 최고 정밀도로 측정했다. 이 결과는 천왕성 자기장의 동역학 연구와 향후 탐사 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왕성 자전 속도, 허블 망원경으로 정밀 측정천왕성은 특이한 자기장과 자전축을 가진 행성으로, 내부 자전 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랑 라미(프랑스 파리 천문대 LIR..

과학 상식 2025.04.16

암흑에너지 없이도 팽창하는 우주, 새로운 이론 등장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주의 가속 팽창과 은하 구조 형성은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 없이는 설명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이 두 가설적 존재 없이 우주의 진화를 설명할 수 있다는 새로운 이론이 제시됐다. ​미국 앨라배마대학교 헌츠빌 캠퍼스(UAH) 물리학 교수 리처드 리우(Richard Lieu)는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 없이도 우주의 팽창과 구조 형성을 설명하는 새로운 우주 모델을 제안했다. 이 연구는 최근 국제 학술지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에 발표됐다.​리우 교수는 기존 빅뱅 이론(Big Bang theory)..

과학 상식 2025.04.16

천왕성, 20년 데이터로 밝혀낸 극지 메탄 분포의 비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천왕성은 태양을 옆으로 누운 채 공전하는 특이한 구조의 행성이다. 이번에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이 20년에 걸쳐 수집한 장기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천왕성의 극지방에서는 메탄이 지속적으로 고갈되고 북극은 시간이 지날수록 밝아지는 등, 극단적인 대기 불균형이 확인됐다. 이 연구는 기울어진 천왕성의 계절 구조와 대기 순환을 보여준다. ​천왕성, 20년 허블 관측으로 드러난 대기 구조 1986년, 보이저 2호가 천왕성을 스쳐 지나가며 남긴 이미지는 심심한 청록색 공 하나였다. 겉보기에 특별한 특징이 없던 이 행성은 이후 오랜 시간 연구의..

과학 상식 2025.04.14

우주 팽창의 비밀, 유클리드가 밝히는 ‘어두운 우주’의 실체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유럽우주국(ESA)이 암흑에너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유클리드(Euclid, ESA 유럽우주국이 주도하고, NASA가 협력한 우주망원경 임무)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데이터를 공개했다. NASA도 함께 참여한 이번 미션은, 우주가 왜 점점 더 빠르게 팽창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최근 공개된 이번 데이터는 유클리드가 본격 임무에 앞서 관측한 일부 하늘 구역을 담고 있다. 아직은 ‘예고편’ 격이지만, 벌써 2,600만 개의 은하를 포착했다. 가장 먼 은하는 무려 105억 광년 떨어져 있다.​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이 우주 ..

과학 상식 2025.04.14

허블의 우주 팽창 법칙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허블(Hubble)의 우주 팽창 법칙(우주 팽창설)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포웰 허블(Edwin Powell Hubble 1889-1953)은 1920년대에 미국의 윌슨 산 천문대에서 천체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구경(口徑)을 가진 100인치 망원경으로 우주에 흩어져 있는 수없이 많은 은하계들까지의 거리를 관측한 결과,​“모든 은하계들은 우리로부터 점점 멀어져 가고 있으며, 은하계들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고 있다. 멀리 있는 은하계일수록 멀어져 가는 속도는 더 빠르다.”​​고 하는 허블 법칙(Hubble's Law..

과학 상식 2025.04.10

허블이 포착한 우주의 장관, 베일 성운의 생생한 디테일 공개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광활한 우주 속, 거대한 별이 폭발한 뒤 남긴 장엄한 잔해가 허블 우주망원경에 의해 또 한 번 선명하게 포착됐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이 공개한 새로운 베일 성운(Veil Nebula) 이미지는 초신성 폭발 이후의 우주 변화를 생생하게 담아내며 이목을 끌고 있다.​미국 과학 뉴스 사이트 피즈(Phys.org)는 최근 NASA와 유럽우주국(ESA)의 허블 우주망원경이 베일 성운(Veil Nebula)의 새로운 이미지를 포착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관측은 허블의 와이드 필드 카메라 3(Wide Field Camera 3)를 활용해 수소..

과학 상식 2025.04.10

행성이 될 뻔한 '실패한 별', 제임스웹이 망원경이 포착한 순간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이 불꽃 성운(Flame Nebula)에서 예상보다 훨씬 작은 천체들을 포착했다. 연구진은 별과 행성의 경계를 가르는 가장 작은 천체를 조사한 결과, 목성 질량의 0.5배에 불과한 극저질량 천체를 발견했다. 이는 기존 이론이 예측한 한계를 넘어서는 발견으로, 별과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전망이다.​실패한 별? 별이 되지 못한 갈색 왜성과 떠돌이 행성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이 지구에서 약 1,400광년 떨어진 불꽃 성운(Flame Nebula)에서 예상보다 훨씬 작은 천체들을 ..

과학 상식 2025.04.07

혜성의 위치에 대한 '보데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행성의 위치에 대한 '보데(Bode)의 법칙'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엘러트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와, 영국의 천문학자인 대니얼 티티우스(Johann Daniel Titlus, 1729-1796)는 1768년경에 태양계의 행성 6개가 일정한 법칙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 있다는 사실을 각기 발표했다. 행성들이 일정한 거리에 있다는 법칙을 보데의 법칙(Bode's Law) 또는 티티우스-보데의 법칙(Titius-Bode Law)이라 한다. 0, 3, 6, 12, 24, 48, 96으로 ..

과학 상식 2025.03.24

허블이 포착한 우주의 모습, 9중 고리 은하의 탄생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허블 우주 망원경이 9개의 고리를 지닌 거대 은하 ‘황소눈 은하(Bullseye Galaxy)’를 발견했다. 이는 지금까지 관측된 은하 중 가장 많은 고리를 가진 사례로, 천문학계에 새로운 수수께끼를 던지고 있다. 연구진은 약 5천만 년 전 왜소은하의 충돌로 인해 이처럼 정교한 다중 고리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이 포착한 LEDA 1313424는 지름이 25만 광년에 달하는 거대 은하로, 이는 우리 은하(Milky Way)의 약 2.5배 크기에 해당한다. 예일대학교 박사 과정 연구원인 이마..

과학 상식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