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비뇨기계는 ‘더러운 것’으로 알고 자란 많은 사람들은 항문음(항문 성교)하는 것을 부도덕하고 비위생적인 것으로 알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항문음에서 얻는 성적 쾌감을 ‘변태적인’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항문음은 많은 남녀 사이에서 성행되고 있는 성행위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항문은 많은 말초신경이 모여 있는 곳이기 때문에 좋은 성감대이며 애무나 음경삽입에도 적응된 부위이기도 하다.
음경을 항문 깊이 삽입하면 질의 구석까지 삽입되었을 때와 같은 만족감을 얻는 여성도 있다. 항문의 괄약근이 음경에 의해서 신전되는 것을 불쾌하게 느끼는 여성이 많을지도 모르지만, 오히려 같은 감각이지만 에로틱하게 느끼는 여성도 있다. 한편 항문의 괄약근이 페니스를 꽉 조여주고 있기 때문에 질에 삽입하는 것보다도 항문에 삽입하는 것을 좋아하는 남성도 있다. 항문음은 ‘동성연애적인’ 것으로 오해되어 항문을 손가락만으로 자극하기를 좋아하는 부부도 있다. 물론 이 자극 역시 성적 애무의 한 방법이다.
항문음이 강제적 또는 폭력적으로 행하여질 때 조직에 상처를 낼 수도 있지만 항문이나 직장에는 그리 큰 상처를 내지는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항문음은 여성쪽에서 쾌히 응낙해 주는 경우에만 이루어져야 한다. 여성이 쾌감을 느끼는 경우에는 괄약근이 용이하게 이완되기 때문에 음경을 삽입해도 큰 고통은 주지 않는다. 그러나 여성이 상대남성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서 마음에 없는 항문음을 허락했을 경우에는 괄약근이 수축되어 음경삽입이 힘들어지고 상당한 통증도 느끼게 된다.
항문음을 할 때에는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셀린(vaselin)을 칠하면 음경삽입이 쉬어진다.
여성이 대변을 마치고 직장을 비워 두면 음경삽입이 보다 쉬워지고 윤활제를 적당히 바르면 항문점막의 파열상도 피할 수 있다. 음경의 운동이 항문 속에 있는 상처를 반복하여 자극하게 되면 약간의 통증이나 출혈이 있을 수 있고 고름이 섞인 대변이 나올 때도 있다. 이 때에는 진통제나 항생제를 복용하여 치료해야 한다.
항문음을 하는 여성은 배변을 중단할 때와 같이 하루에 여러 번 괄약근을 수축시키는 연습을 해둘 필요가 있다.
항문음 때문에 생길 수 있는 상처로는 항문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것으로 인해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심한 경우 직장이 심하게 파열되거나 괄약근이 손상되거나 여러 가지 실금현상이 나타날 때도 있다.
직장 속에 삽입되는 이물, 예를 들면 음경진동기, 페니스유사물, 오이, 가지, 양초 등도 항문 주변에 상당한 상처를 줄 때가 있다. 직장은 S자상 결장과 연속되므로, 이물이 긴 경우 결장에까지 도달될 때가 있어서 결장에 구멍이 생겨 중증의 복막염이 될 수도 있다.
대변(똥)에는 많은 병균이 혼합되어 있어서 가끔 남성요도염에 감염되기도 하므로 삽입 전에 반드시 여성이 배변해 두어야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또한 음경이 질이나 여성요도에 병균을 이환시킬 가능성도 매우 큰데, 특히 대장균(E. Coli)이 가장 위험성이 크고 살모넬라균이나 적리 아메바균도 위협적이다.
항문음을 할 때 물론 남성은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인데, 다시 질에 삽입하려면 오염된 콘돔은 반드시 폐기해야 된다. 질내에 있는 세균은 직장염을 일으킬 위험은 없지만, 그러나 항문음 후에는 될 수 있는 한 빨리 비누로 음경을 세척하는 것이 좋다.
성교파트너 어느 한쪽이 성병에 걸렸을 경우, 콘돔 사용은 절대적 요건이다. 가장 흔한 항문이나 직장의 질병은 임질(고노레아)이다. 임질에 감염되면 항문 속이 약간 가렵거나 타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고 심한 불쾌감까지 느끼게 된다.
기타 수많은 성병 즉 매독, 연성하감, 서혜림프육아종, 단순포진, 매독성 림프육아종, 항문사마귀 등이 항문음에 의해서 감염될 수 있다.
만약 전희나 후희시 항문 주위에 키스하려고 한다면 사전에 깨끗이 항문을 세척해 두어야 할 것이다.
단순헤르페스, 바이러스성 간염, 바이러스성 하리 등의 질병도 항문음에 의해서 감염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기타 아메바증, 램블편모충증, 요충증과 같은 기생충질환도 같은 원인에 의해서 감염된다.
버섯과 곰팡이는 어떻게 다른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곰팡이와 버섯은 미생물 겨울이 가까이 오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라늄 채굴자, 방사선 피폭 우려는 없을까? (0) | 2025.02.19 |
---|---|
나도 혹시 글루텐 불내증? 글루텐 프리 필요할까 (0) | 2025.02.19 |
버섯과 곰팡이는 어떻게 다른가? (0) | 2025.02.19 |
오캄의 면도날의 원리란? (0) | 2025.02.19 |
음악으로 우울증뿐 아니라 고혈압, 위장병도 치료한다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