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단세포 하등동물에서 고등동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동물의 입 구조는 그들이 무엇을 먹는가에 따라 다르다. 입이라는 구멍(구강, 口腔)에서부터 배설하는 항문까지를 소화관이라 한다. 어떤 동물이라도 입의 구조는 신체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아메바와 연두벌레 같은 단세포 동물일지라도 세포막에 먹이를 흡입하는 구멍(입)과 배설하는 구조가 있다.
진화된 포유동물 중에 육식을 하는 사자, 호랑이, 악어 같은 포식동물은 먹이를 찢고 자를 수 있는 날카로운 이빨을 가졌고, 소와 양, 토끼처럼 식물을 먹는 초식동물은 먹이를 부수고 잘게 갈 수 있는 넓적한 이빨을 가졌다.
고등동물의 구강은 먹는 기능 외에 소리를 내어 서로 교신하고 적을 위협하며, 새끼를 물어 나르기도 한다. 특히 육상생활을 하는 양서류, 조류, 파충류, 포유류는 입으로 호흡까지 한다. 또 많은 포유동물은 입안의 혀로 자신과 새끼의 몸을 청결하게 하며, 개과의 동물은 혀를 통해 체온을 조절하기도 한다.
척추동물에 속하는 큰 동물의 입 구조는 쉽게 관찰할 수 있지만 곤충, 거미, 연체동물 등 작은 하등동물의 입 구조는 보기도 어렵고, 관찰해도 구조를 이해하기 어렵다.
강장동물(腔腸動物) 또는 자포동물(刺胞動物)로 분류되는 말미잘 종류는 배설기관이 따로 없고 입이 항문 역할까지 한다. 말미잘 입 주변의 근육이 바닷물을 흡입하고, 동시에 내부 배설물을 토해낸다. 대표적인 강장동물은 해파리, 산호, 말미잘이다. 강장이란 비어 있는(腔) 소화기관(腸)이라는 뜻이다.
환형동물로 분류되는 지렁이는 전구(前口, prostomium)라 불리는 주둥이의 근육으로 부식물이 포함된 흙을 삼킨다. 눈, 코, 귀, 발이 없는 지렁이는 전구를 이용하여 터널을 판다. prostomium 옆의 peristomium은 ‘주둥이 주변’이라는 뜻이다.
조개, 소라 등의 연체동물은 잎(mouth)에 치설(齒舌, radular)이라 부르는 혀를 닮은 부분이 있다. 미세한 이빨로 이루어진 치설은 먹이를 가루로 만들어 위(stomach)로 보낸다.
다양한 곤충의 입
분류학상 가장 종류가 많은 곤충은 먹이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입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기 어렵다. 아래 그림은 친숙한 곤충인 A)메뚜기, B)벌, C)나비, D)모기의 입 구조를 나타낸다.
그림에서 a: 안테나, c: 복안, lb: 입술, lr: 윗입술, md: 턱(악顎), mx: 위턱(상악上顎), hp: 아래 혀(hypopharynx)
꿀을 빨아먹는 나비는 긴 대롱 같은 주둥이(권구, 捲口, probosis)가 입이다. 주둥이(권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프링 코일처럼 말아두었다가 꿀샘 속으로 깊이 뻗을 수 있다.
꿀벌의 입 구조는 다소 복잡하다. 꿀벌의 입에는 포유동물의 턱에 해당하는 2개의 턱(맨디블, mandible)이 집게처럼 좌우에 있다. 맨디블은 다른 곤충을 깨물기도 하고, 벌집을 지을 때 밀랍을 바르기도 한다. 오른쪽 그림은 좌우 턱(맨디블)의 중앙 부분 즉 주둥이 부분을 나타낸다. labial palpus는 꿀이나 물의 맛을 감각하는 대롱(스트로)이고, glossa는 꿀을 빨라들인다. galea는 꿀 흡입부 조직을 보호한다.
먹이를 씹어먹는 곤충들은 집게처럼 생긴 턱(맨디블)을 머리 앞 좌우에 가지고 있다. 곤충의 턱은 매우 완강한 힘을 발휘한다. 맨디블은 먹이를 채집하기도 하고 적과 싸울 때 무기가 된다.
잠자리 주둥이는 좌우에 강력한 맨디블이 있고, 그 아래에 작은 턱(maxillae)이 있다. labrum(윗입술)은 먹이를 삼키는 역할을 한다.
지네의 몸은 많은 마디가 연결되어 있다. 각 마디마다 1쌍의 다리가 있으며, 종류에 따라 15-191쌍의 다리를 가졌다. 그들의 입에는 한 쌍의 맨디블과 2쌍의 아래턱이 있다.
<중요 용어 해설>
저작구(咀嚼口, chewing mouthpart)
먹이를 잡아 씹는 절지동물의 주둥이를 저작구라 한다. 메뚜기, 잠자리, 사마귀, 지네 등이 대표적인 저작구를 가진 절지동물이다.
절지동물(arthropod)
다리에 여러 관절이 있는 곤충, 거미류, 다지류(多肢類) 및 갑각류를 절지동물(마디다리동물)이라 한다.
다지류(millipedes)
지네, 노래기처럼 많은 다리를 가진 절지동물을 말한다. 다지류는 13,000종 가량 알려져 있다.
맨디블(mandible)
인간의 아래 턱(lower jaw)을 의학에서 맨디블이라 한다. 곤충이나 하등동물의 저작구도 맨디블이라 부르며, 우리말로 턱이라 표현하고 있다.
|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무트효소 다이어트, 어떻게 먹고 얼마나 빠질까? 브랜드별 카무트효소 정리 (0) | 2025.04.02 |
---|---|
친환경 모듈러주택, 누구나 꿈꾸는 숲속의 작은 집 (0) | 2025.04.02 |
NASA가 조니 김을 우주에 보낸 진짜 이유 (1) | 2025.04.02 |
벌새 새끼의 기묘한 위장술, 애벌래 위장해 포식자 속인다 (0) | 2025.04.02 |
블러드문이 온다···오는 16일 개기월식 NASA 생중계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