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과일을 벗기면서 생각한다. '껍질째 먹는 게 영양이 더욱 풍부하다는데···.' 그러면서도 한편으론 농약 걱정, 식감 걱정이다. 깔끔하고 부드러운 과육만을 섭취하려면 매끈한 속살만 먹어야겠지만, 식품과학적 측면에서 과일 껍질은 핵심 영양소이자 강력한 항산화 물질이다. 과일 속 숨어있는 껍질의 효과에 대해 알아봤다.
과일은 과육 덩어리가 아니라, 껍질을 포함한 영양 패키지
자연은 과일을 단순한 과육 덩어리가 아니라, 껍질까지 포함한 완전한 영양 패키지로 설계했다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과일이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가장 강력한 무기는 껍질이다. 햇빛과 병원균, 해충 같은 외부 공격으로부터 과일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껍질에는 강력한 생리활성 물질이 축적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폴리페놀(polyphen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등의 항산화 물질을 섭취하게 되면 세포 손상을 막고, 염증을 줄이며, 노화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
포도 껍질에는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과 안토시아닌(anthocyanin)이 다량 함유돼 심혈관 건강, 항염 효과, 세포 보호 작용을 돕는다.
포도 껍질 속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은 심혈관 건강을 보호하는 강력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과 껍질 속 퀘르세틴(quercetin)은 면역력을 높이고 항염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감귤 껍질에 함유된 헤스페리딘(hesperidin) 역시 혈관 건강과 항산화 작용에 도움을 준다.
식이섬유, 장 건강의 열쇠
과일 껍질이 제공하는 또 다른 핵심 요소는 바로 식이섬유다. 특히 껍질에는 불용성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장내 환경을 조절하고 변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장내 미생물은 이러한 섬유소를 분해하면서 단쇄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s, SCFA)을 생성하는데, 이는 장 건강뿐만 아니라 대사 조절과 면역 체계 강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껍질을 제거하면, 과일에서 가장 많은 식이섬유가 사라진다. 예를 들어, 사과 껍질을 벗기면 식이섬유의 30% 이상이 손실된다. 포도 껍질을 제거하면 장내 미생물과 상호작용하는 주요 성분이 사라지며, 감자의 껍질을 벗기면 칼륨과 철분 섭취량이 급감한다.
사과 껍질에는 식이섬유, 항산화 물질,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다. 펙틴(pectin)이 장 건강과 혈당 조절을 돕고, 퀘르세틴(quercetin)과 폴리페놀(polyphenol)이 항산화 작용을 해 면역력 강화와 염증 완화에 기여한다.
그럼에도 농약 걱정, 깨끗히 씻으려면?
알면서도 껍질째 먹기 멈칫하게 되는 건 농약 때문이다. 물론 표면에 농약 잔류물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세척 방법을 제대로 활용하면 충분히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
깨끗하게 먹기 위해서는 식초 물에 5~10분간 담가두거나, 베이킹소다로 문질러 세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흐르는 물에 문질러 씻거나, 브러시를 사용하면 표면의 잔여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과일은 자연이 치밀하게 설계한 영양 패키지다. 과일을 온전한 형태로 즐기는 습관이 건강을 위한 작은 변화가 될 수 있다.
물도 기억을 한다?···워터 메모리 가설의 진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리가 마시는 이 물이 과거에 다른 물질과 접촉한 경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변화장관급 회의란? (0) | 2025.05.08 |
---|---|
정부의 기후변화 방지 기본법은? (0) | 2025.05.08 |
물도 기억을 한다?···워터 메모리 가설의 진실 (0) | 2025.05.07 |
버섯, 알고 보면 야채도 식물도 아니다? (0) | 2025.05.07 |
깔따구 유충 외피 속 미세 플라스틱, 1970년대부터 사용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