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4/16 글 목록 (2 Page)

2025/04/16 15

조니 김, ISS 도착···해치 열고 동료들과 포옹 공개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 우주비행사 조니 김(41)이 2025년 4월 8일 러시아 소유즈 MS-27/73S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무사히 도착했다. 조니 김은 러시아 우주비행사 세르게이 리지코프(50), 알렉세이 주브리츠키(32)와 함께 약 8개월 동안 ISS에 장기 체류하며 과학 임무와 정거장 운영을 지원할 예정이다.​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소유즈 로켓은 이륙 8분 46초 만에 3단 분리를 완료했으며, 우주선은 독자 비행에 들어갔다. 이후 자동 항법 시스템을 이용해 약 3시간 동안 랑데부를 진행한 끝에, ISS 프리찰(..

천문학 2025.04.16

'전원 여성 우주비행사' 블루오리진, 그 숨겨진 이야기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1963년, 러시아 우주비행사 발렌티나 테레시코바가 여성 단독 우주비행에 성공한 이후, 오직 여성 승무원만으로 이뤄진 우주 비행은 다시 한 번 이뤄진 적이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블루오리진(Blue Origin)이 올해 봄 계획하고 있는 전원 여성 우주비행은 우주개발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로 기록될 가능성이 있다.​이번 비행에는 팝스타 케이티 페리, 방송인 게일 킹, 프로듀서 케리앤 플린, 전 NASA 과학자 아이샤 보위, 시민권 운동가 아만다 응우옌, 언론인 로렌 산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름을 알린 여성들이 승무원으로 참여한다. 블루오..

천문학 2025.04.16

초거대 발톱을 가진 공룡, 테리지노사우루스 신종 발견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몽골 고비 사막은 백악기 후기에 다양한 공룡들이 서식했던 지역이다. 이곳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들은 당시 생태계와 공룡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2012년, 몽골 과학원의 연구진은 고비 사막에서 테리지노사우루스류 공룡의 화석을 발굴했다. 화석은 발굴 이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장기간 보관되었다.최근 국제 공동 연구팀이 해당 화석을 재분석한 결과, 기존에 알려진 테리지노사우루스류와 구별되는 특징이 확인되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큰 3차원 보존 공룡 발톱과 두 개의 손가락 구조가 관찰되었다.​연구진은 이 ..

과학 상식 2025.04.16

시체꽃 멸종 위기, 희귀 거대 식물 사라져가···유전 계보 단절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동남아시아 수마트라 섬에는 독특한 식물이 자생한다. 높이는 3미터에 달하고, 수백 명이 한꺼번에 몰려들 만큼 개화 자체가 보기 드문 꽃이다. 정식 명칭은 아모르포팔루스 티타눔(Amorphophallus titanum)이지만, 썩은 고기 냄새를 강하게 풍긴다고 해서 ‘시체꽃(corpse flower)’이라는 별명 더 유명하다.​전 세계 식물원과 연구기관은 이 희귀 식물을 살아 있는 상태로 보존하며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려 한다. 하지만 최근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와 시카고 식물원 연구팀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오히려 이러한 보존 방식이 시체..

과학 상식 2025.04.16

제임스 웹, 별 탄생 막는 은하 중심부 자기장 첫 포착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은하 중심부에서 별 탄생을 억제하는 강한 자기장을 처음으로 관측했다.​구름과 먼지에 가려졌던 사수자리 C 지역을 뚫고, 어린 별의 분출 활동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별이 거의 태어나지 않는 은하 중심부의 구조를 새롭게 이해하게 됐다.​제임스 웹, 구름 뚫고 어린 별 포착 연구팀은 2023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수자리 C(Sagittarius C) 별 탄생 지역 이미지를 분석했다.​이 지역은 우리 은하 중심부, 이른바 '중심분자구역(Central Molecular Zone)'에 위치해 있으며,..

천문학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