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초기 우주 은하 산소 발견… 기존 진화 이론 '흔들'

과학 상식

초기 우주 은하 산소 발견… 기존 진화 이론 '흔들'

sciencewave 2025. 4. 2. 15:28
 

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우주의 첫 은하들은 천천히 자라고, 천천히 진화했을 것이라는 게 지금까지의 정설이었다. 하지만 최근 134억 광년 떨어진 초기 우주의 은하에서 산소가 발견됐다. 우주가 태어난 지 불과 3억 년이 지났을 때 이미 성숙한 별의 흔적이 존재했던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 확인된 은하 중 가장 먼 곳에 있는 천체로, 이미 진화가 상당히 진행됐음을 보여준다.

우주 가장 먼 곳에서 확인된 산소의 흔적

이탈리아 피사의 스쿨라 노르말레 수페리오레와 네덜란드 레이던 천문대 연구진은 최근, 지구로부터 약 134억 광년 떨어진 은하 JADES-GS-z14-0를 관측한 결과를 각각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이 은하는 2023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처음 발견됐으며, 현재까지 인류가 확인한 가장 먼 은하 중 하나다. 당시 이 은하에서 방출된 빛은 우주가 지금 나이의 약 2%였던, 빅뱅 후 3억 년 무렵에 발생한 것이다.

연구팀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한 ALMA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이 은하의 스펙트럼을 분석했고, 그 안에서 산소의 흔적을 찾아냈다. 산소는 별이 수명을 다할 때 비로소 만들어지는 무거운 원소다. 수소와 헬륨 같은 가벼운 원소들만으로 시작된 우주는, 별들이 진화하고 폭발하며 점차 산소, 탄소 같은 무거운 원소들을 생성해왔다. 그렇기 때문에 은하에서 산소가 검출됐다는 건, 이 은하가 이미 여러 차례의 별 탄생과 죽음을 거쳤다는 의미다.

 

 

 

은하 JADES-GS-z14-0의 상상도. 이 은하는 빅뱅 후 약 3억 년 뒤 형성된 초기 우주의 은하로, 최근 관측에서 산소가 검출돼 주목받고 있다.

[사진= ESO / M. Kornmesser]

 

산소가 말해준 우주의 예상 밖 진화 속도

연구팀은 이 은하에 존재하는 산소의 양이 예상보다 10배 이상 많다고 보고했다. 이는 해당 은하가 단지 형성 초기 단계가 아니라, 이미 상당히 진화한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당시 우주에서는 이제 막 별이 생기기 시작했을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는 기존 우주 진화 시나리오에 중요한 도전이 된다.

스테파노 카르니아니 교수는 “초기 은하에서 산소가 검출된 것은, 은하가 어떤 과정을 통해 진화했는지를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공동 연구자인 산더르 스하우스 박사과정 연구원도 “유아기 은하만 있을 줄 알았던 시기에 이미 청소년에 가까운 은하가 존재했다는 것은, 은하 형성 속도에 대한 기존 모델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속 작은 사진은 전파망원경 ALMA로 촬영한 은하 JADES-GS-z14-0의 모습이다. 아래의 두 스펙트럼은 서로 다른 두 연구팀이 ALMA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분석한 결과로, 모두 산소의 방출선을 확인했다. 이는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먼 거리에서 산소가 발견된 사례로, 당시 우주는 약 3억 년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다.

[사진= ALMA / ESO / NAOJ / NRAO / Carniani et al. / Schouws et al. / NASA / ESA / CSA / Webb / STScI / Brant Robertson (UC Santa Cruz) / Ben Johnson (CfA) / Sandro Tacchella (Cambridge) / Phill Cargile (CfA)]

 

초기 우주 은하 산소 발견- 다시 쓰는 우주 진화 시나리오

이번 연구는 초기 우주의 은하들이 생각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성숙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ALMA처럼 정밀한 관측 장비의 발전으로, 이전보다 더 먼 우주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 우주론 모델에 대한 검증과 재해석의 필요성도 함께 커지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초기 은하들에 대한 관측과 분석이 이뤄지면, 은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이해가 한층 정교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결과는 그 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사례로, 우주 초기의 구조 형성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가공식품, 5일 폭식했더니 뇌에 일어난 변화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간단히 빠르게 먹으면서 도파민까지 팡팡 터트리는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