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양 샘플을 분석한 결과,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가 발견됐다. 연구에 따르면, 앞면과 뒷면의 샘플이 화학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KREEP 층(칼륨(P), 희토류 원소(REE), 인(P)으로 구성된 층으로, 마그마 바다가 식으면서 마지막으로 형성된 암석층)이 양쪽에서 동일하게 발견됐다. 이로 인해 마그마 바다가 달 전체를 덮고 있었을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달 앞면·뒷면, 닮은 성분
2024년, 중국국가항천국(CNSA)은 달의 뒷면에서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가져오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가져온 달 토양 샘플 2g을 분석하고, 기존에 앞면에서 채취된 샘플과 비교했다.
분석 결과, 뒷면의 현무암이 앞면에서 가져온 현무암과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동위원소 비율과 연대 측정 결과가 거의 일치했다. 이는 달이 형성 초기 전체적으로 뜨거운 마그마 바다로 덮여 있었다는 기존 가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다.

달이 형성 초기에 광활한 액체 상태의 마그마 바다가 있었고 이 상태가 수천만 년~수억 년 동안 지속되었을 것이라는 기존 모델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그마 바다, 달 전체를 덮었을까?
'마그마 바다 모델'에 따르면, 달이 처음 생겼을 때 거대한 마그마 바다로 뒤덮여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마그마가 식고 굳어지면서 무거운 물질은 가라앉아 맨틀을 만들고, 가벼운 물질은 표면으로 떠올라 지각을 형성했다. 이 과정에서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특정 원소들이 뒤섞여 KREEP 층이 만들어졌다.
KREEP 층, 앞면과 뒷면 모두에서 발견
연구진이 분석한 결과, 달 앞면과 뒷면 샘플 모두 KREEP 층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두 샘플이 거의 동일하다는 점에서 마그마 바다가 달 전체를 뒤덮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번 연구는 '마그마 바다' 이론이 단순한 가설이 아니라, 실제로 달이 형성된 방식일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창어-6 착륙 지점. [사진= 베이징 SHRIMP 센터, 중국지질과학연구소(CAGS)]

창어-6 착륙 지점. [사진= 베이징 SHRIMP 센터, 중국지질과학연구소(CAGS)]
또한, 연구진은 앞면과 뒷면의 샘플 간에 일부 동위원소 차이가 있다는 점도 발견했다. 이 차이는 마그마 바다가 굳어진 이후, 달의 각 지역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진화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이번 연구는 달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해왔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앞으로 추가적인 샘플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달의 초기 역사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Science에 게재됐다.
마라톤 후 뇌에 일어난 변화···몸이 달리면 뇌도 달린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뇌 신경 신호의 속도 조절기 미엘린마라톤 후 줄어든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기한=무한정', 유일한 이 음식은 무엇? (0) | 2025.04.03 |
---|---|
노화를 되돌릴 수 있을까? - 영화 '서브스턴스'가 던지는 과학적 질문 (0) | 2025.04.03 |
마라톤 후 뇌에 일어난 변화···몸이 달리면 뇌도 달린다 (0) | 2025.04.03 |
높은 곳에 살면 정말 빨리 늙을까?···상대성 이론과 생체 시간의 관계 (0) | 2025.04.03 |
백종원 드럼통 논란, '엔진오일 훈연'·· 이것도 '나여 백종원!'?? (1)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