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2 글 목록 (6 Page)

2025/02 132

우주와 지구를 이루는 원소는 어떤 일을 할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숨 쉬는 공기, 그리고 발밑을 딛고 있는 대지까지 모든 것이 원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우주에서 가장 많은 원소와 지구에서 가장 많은 원소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은 새삼 흥미롭다.우주에서는 수소와 헬륨이, 지구에서는 산소와 규소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원소들은 생명과 문명, 그리고 우리의 미래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 우주의 기본 재료, 수소와 헬륨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는 수소다. 우주 전체 질량의 약 75%를 차지하는 수소는 별의 연료로 사용되며, 핵융합 반응을 통해 헬륨을 생성한다. 헬륨은 약 2..

천문학 2025.02.17

영장류, 원숭이, 유인원, 인간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영장류, 원숭이, 유인원, 인간 영장류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고 한다. 엄지손가락으로 다른 손가락을 마주하게 할 수 있다는 점, 큰 뇌를 가진 점, 엄지발톱이 평평한 점, 보통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배는 점, 수컷의 고환이 흔들린다는 점이다. 영장류는 원숭이, 유인원 및 인간으로 진화되었는데, 원숭이와 유인원의 결정적인 차이는 꼬리의 존재다. 꼬리가 있다면 원숭이, 꼬리가 없다면 유인원으로 분류한다. 오늘날 고생물학자들은 사람 속(hominine)과 원숭이(ape)의 차이는 직립보행을 하느냐의 여부라는데 의견..

과학 상식 2025.02.17

핵분열과 핵융합은 어떻게 다를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에너지 위기와 기후 변화가 점점 더 심각해지면서 인류는 새로운 에너지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원자핵을 이용한 두 가지 기술, 핵분열과 핵융합이 있다. 하나는 이미 우리 삶의 일부가 된 현실적인 에너지 기술이고, 다른 하나는 미래를 열기 위한 가능성에 도전하는 기술이다.​핵분열, 현재를 책임지는 에너지핵분열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같은 무거운 원자핵이 쪼개지며 에너지를 방출하는 반응이다. 주로 우라늄-235나 플루토늄-239이 중성자를 흡수하며 불안정해진 뒤 두 개의 더 가벼운 원자핵으로 쪼개지는 반응이다...

과학 상식 2025.02.17

동물성 플랑크톤은 신비한 생명체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육상에 사는 동물의 종류와 생태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물속의 미세한 동물들 즉 플랑크톤(부유생물)으로 분류되는 생명체들의 모습과 생태는 거의 알려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없다면 바다에는 조개와 새우에서부터 오징어, 물고기, 상어, 고래까지 모든 수생동물이 생존할 수 없게 된다. ​​바다나 호수에서 수영하면서 눈을 뜨고 바라보면 무수히 많은 크고 작은 입자들이 떠돌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중에는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더 작은 입자(생명체)가 몇 갑절 많이 존재한다. ​​동물성 플랑크톤(..

과학 상식 2025.02.17

석고의 성분은 무엇이며, 물에 개어두면 왜 단단하게 굳어지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석고는 육지가 된 바다나 호수가 증발할 때 생성​​시멘트는 산화칼슘(CaO)이 주성분인데, 석고(石膏 plaster, gypsum)는 황산칼슘(CaSO4)이 주성분이다. 석고는 자연 상태에서 물과 결합하여 굳은 형태의 비금속 광물로 산출된다. 석고는 단단한 고체이지만, 손톱으로 긁으면 상처가 생길 정도로 무르다.​자연에서 산출된 석고를 15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희색의 가루가 된다. 이런 석고 가루를 ‘구운 석고’ 또는 ‘소석고’(燒石膏)라고 하는데, 소(燒)는 ‘뜨겁게 구웠다’는 뜻이다. ..

과학 상식 2025.02.17

액체도 고체도 아닌 하이드로젤의 성질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해파리의 몸은 투명하고, 수분이 다량 포함된 물렁물렁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인들은 이런 물질을 젤리(jelly), 젤(겔 gel), 젤라틴(gelatin)이라 부르고, 화학에서는 하이드로젤(hydrogel) 또는 칼러전(collagen 콜라겐)이라 칭한다. 육류나 생선, 뼈다귀를 고은 국물이 식으면 표면에 반고체 상태의 하이드로젤(칼러전)이 뜬다. 이런 하이드로젤을 이용하여 얼음사탕, 마시멜로(marshmallow), 젤오 같은 과자(candy), 식품, 의료용 보형물, 음료, 접착제 등을 만들어 여러 가지..

과학 상식 2025.02.17

호주를 지배했던 거대한 육상 도마뱀, 메갈라니아의 비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호주의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시절, 포유류가 번성하던 시기에도 거대한 파충류가 그 지역의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했다. 바로 몸길이 5미터에 달하는 메갈라니아다. 이 고대 도마뱀은 호주 생태계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오늘날까지도 많은 학자들과 자연 애호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21일 유튜브 채널 ‘과학드림’에서는 메갈라니아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다뤘다. 과학드림에 따르면, 메갈라니아의 이야기는 1850년대 영국 왕립대학교의 리처드 오언(Richard Owen) 교수가 호주 동부의 콘도 마인강 부근에서 화석을 발견..

과학 상식 2025.02.17

플라스틱은 언제 어떻게 발명하게 되었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플라스틱 제품으로 가득한 세상 ​플라스틱(plastic 플래스틱)이 없던 시절에 항아리에 담긴 물을 뜨려면 박 껍질로 만든 바가지를 사용했다. 그러나 반세기 전쯤부터는 바가지만 아니라 한마디로 거의 ‘모든 것’을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주변을 둘러보면 너무나 많은 물건이 플라스틱이어서, 플라스틱이 없다면 당장 얼마나 불편해질지 상상조차 하기 어렵다.​플라스틱은 목재, 석재, 뿔, 뼈, 가죽, 종이, 금속, 유리, 도자기,섬유 등을 대신하고 있다. 플라스틱에는 성분과 제조 방법에 따라 종류가 많다. ..

과학 상식 2025.02.13

뱀의 초감각, 적외선 탐지기술은 어떻게 작동하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아마존 밀림에 밤이 오면 뱀들은 먹이를 찾아 사냥을 나선다. 칠흑같은 어둠 속에서도 정확히 사냥감 포착에 성공한다. 이 놀라운 능력은 적외선 탐지라는 특별한 감각에서 비롯된다. 적외선은 인간의 눈으로 직접 볼 수 없는 전자기파로 파장이 0.75㎛ 이상인 빛이다. 보아과(애너콘다, 비단구렁이 등)와 방울뱀과(방울뱀, 부시마스터 등)뱀들의 신비로운 적외선 탐지 능력은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 ​적외선 탐지기관의 구조와 원리뱀의 적외선 탐지기관은 눈과 코 사이의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내부에..

과학 상식 2025.02.13

다이어트 성공? 지방세포 10년 이상 생존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흔들리면 지방입니다"라는 카피는 지방(fat)을 적으로 간주하는 현대인의 시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근육질 몸의 살성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반면, 체지방이 높으면 셀룰라이트로 인해 울퉁불퉁하고 탄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유산소 운동과 혹독한 식이조절로 체지방을 감량했다고 해도 요요가 쉽게 오는 데는 이유가 있다. ​기존 지방 세포들이 가지고 있던 특성 때문이다. 다른 세포와 다른 지방 세포는 그 수가 줄어도 사라지지 않고 10년 이상 생존해 언제든 살이 붙기 쉬운 상태를 유지한다. 지방세포..

과학 상식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