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2 글 목록 (5 Page)

2025/02 132

나도 혹시 글루텐 불내증? 글루텐 프리 필요할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단백질 하면 보통 육류를 떠올리지만, 밀과 보리 등의 곡물에도 중요한 단백질이 있다. 글루텐(Gluten)이다. 글루텐은 밀가루 반죽의 끈기와 탄력을 제공하며, 빵이 부풀고 면발에 찰기를 준다. 글루텐은 글리아딘(Gliadin)과 글루테닌(Glutenin)이라는 두 가지 주요 단백질로 구성되는데, 이들의 비율과 함량에 따라 밀가루의 용도가 박력분, 중력분, 강력분으로 나뉜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 글루텐은 즐거운 식사의 재료가 아니라, 면역 체계의 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글루텐 프리 식단은 글루텐 과민증이 있는 ..

과학 상식 2025.02.19

버섯과 곰팡이는 어떻게 다른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곰팡이와 버섯은 미생물 겨울이 가까이 오면 산야의 나무로부터 땅에 떨어지는 낙엽의 양이 엄청나다. 거기에는 바람에 넘어지거나 병들어 죽은 나무도 많이 있다. 그러나 얼마 지나면 낙엽과 죽은 나뭇가지들은 차츰 없어져 간다. 식물체의 잎과 가지들을 분해시킨 것은 박테리아, 곰팡이, 버섯 3가지이다. 만일 죽은 생명체를 분해하는 이들 하등 생명체가 없다면 지상은 온통 쓰레기장이 될 것이다.​지구상에는 70,000종에 이르는 버섯(mushroom)과 곰팡이(molds)가 한대지방에서 열대지방까지 거의 어디든 살고 있다. 그..

과학 상식 2025.02.19

오캄의 면도날의 원리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오캄의 면도날(Ockam‘s Razor) 원리,단순성의 원리 과학의 연구나 이론에서, “무언가를 설명할 때 불필요하게 복잡한 가정이나 가설을 제시하거나 생각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을 ‘오캄의 면도날 원리‘라고 말한다. 즉 어떤 문제를 설명할 때 비합리적인 주장이나 가정은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대 이집트나 잉카 문명의 놀라운 건축기술이 신비하다고 하여, “우주인으로부터 기술을 배웠다.”라고 가정하거나, “선박이 자주 침몰하는 버뮤다 바다에 블랙홀이 있다.”는 따위의 생각은, 문제를 더욱 복잡..

과학 상식 2025.02.19

음악으로 우울증뿐 아니라 고혈압, 위장병도 치료한다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연히 듣게 된 노래 한 곡으로 기분이 고조되거나 감동을 받은 적이 있는가? 음악은 하나의 가락을 넘어 마음을 어루만지고, 감정의 균형을 되찾게 하는 또 다른 언어이기도 하다. 이같은 음악의 치유 효과가 일본에서는 체계적으로 쓰이고 있어 눈길을 끈다. ​호시 게이코의 책 에 따르면 음악요법은 정신건강 치료의 한 축으로, 예술요법의 한 갈래다. 음악요법은 크게 음악을 듣는 ‘수용적 요법’과 직접 악기를 연주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능동적 요법’으로 나뉜다. 우울증 환자는 치료사의 지도 아래 감정을 자극하는 음악을 듣거나..

과학 상식 2025.02.17

우주에 새겨진 긴 꼬리, 정체는 뭘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붙박이별(항성·恒星)에서 방출된 항성풍(별의 외곽 대기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입자의 흐름)이 행성을 스치며 남긴 흔적이 관측됐다.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인 WASP-69 b의 대기는 항성풍의 영향을 받아 길게 늘어진 가스 꼬리를 형성하며, 별과 행성 간의 독특한 상호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NASA는 이 모습을 최근 미국 천문학회(American Astronomical Society)의 공식 학술지 Astrophysical Journal (ApJ)에 발표된 논문을 통해 공개했다.​뜨거운 목성의 대기, 우주에 꼬리를 ..

천문학 2025.02.17

삼투, 역삼투, 해수 담수화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삼투와 반투성막​지렁이를 바닷물 속에 넣으면 어떻게 될까?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렁이의 체내 염분 농도보다 높다. 그러므로 지렁이 몸속의 수분이 피부를 통과하여 해수 속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지렁이는 탈수 상태가 되어 생존하지 못하게 된다. ​해수 속의 소금 성분은 지렁이 몸속으로 들어가지(삼투滲透 osmosis) 못하는가?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소금의 분자가 물 분자보다 크기 때문에 지렁이의 세포막에 있는 미세한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배추를 소금물에 넣으면 왜 절여지나?배추를 구성하는 세포 내부의..

과학 상식 2025.02.17

심해에 사는 신종 유령상어 발견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캘리포니아 대학 ‘태평양 상어 연구소’의 소장 에버트(David Ebert) 박사 팀은 타일랜드의 안다만해 수심 500m 되는 곳에서 어둠 속의 요괴처럼 보이는 신종 ‘유령상어’를 발견하여, 그에 대한 기록을 2024년 3월 6일 발행된 학술지 Raffles Bulletin of Zoology>에 발표했다. 상어라고 하면 일반인들은 영화 에 등장한 백상아리 모습을 먼저 연상한다. 상어류는 약 4억 2,000만 년 전 가오리 종류와 함께 가장 먼저 나타난 연골을 가진 고대 어류이다. 상어 종류는 길이가 17cm 정..

과학 상식 2025.02.17

흰개미의 고층 개미탑 건축술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곤충학자들은 일부 곤충이 얼마나 훌륭한 건축가인지 잘 알고 있다. 미장이벌은 진흙으로 파이프 오르간처럼 생긴 집을 짓고, 호리병벌은 호리병처럼 생긴 흙집을 지어 나무에 붙여 두고 그 안에 알은 낳아 키운다. 지구상에 사는 수만 종의 벌은 종에 따라 각기 다른 고유 건축 기술을 가지고 있다. * 호리병벌집몸길이 25~30㎜인 야생 호리병벌이 흙과 자신의 침으로 지은 새끼를 안전하게 키우는 건축물이다. 흰개미라는 곤충의 건축술은 오래 전부터 곤충학자들에게 흥미로운 연구 대상이었다. 지구상에는 약 2,000종의 흰..

과학 상식 2025.02.17

제논의 역설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그리스의 철학자인 제논(Zeno 약 BC. 490 ~ 430, Zenon으로도 표기)의 이름을 딴 ‘제논의 역설’(逆說 Zeno’s Paradoxes)은 물리학이나 수학을 공부할 때 자주 등장하는 억지 논리이다. 그의 여러 가지 역설 중에 ‘아킬레스와 거북’, ‘2분(二分) 역설’, 그리고 ‘화살의 역설’ 3가지가 유명하다. ​아킬레스와 거북의 역설(Paradox of Achilles and the tortoise) ​아킬레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가장 빨리 달리는 영웅의 이름이다. 거북을 100m 앞에 두고 아킬..

과학 상식 2025.02.17

SNS 디톡스를 하면 어떤 효과가 일어날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하루 종일 비스듬히 누워 스마트폰만 들여다본 적이 있는가? 달콤한 순간의 탐닉이 긴 허무함으로 남은 경험은 누구나 한 번쯤 있을 것이다. 스크롤을 멈추고 잠시 디지털 세상에서 벗어나면 뇌는 어떻게 반응할까?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최근 소셜 미디어(SNS) 디톡스 효과에 대해 보도에 눈길을 끌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미국에서는 '소셜 미디어 디톡스'를 검색하는 사람이 60%나 증가해 SNS 중독을 탈피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뇌에 미치는 영향소셜 미디어는 뇌의 보상 시스템을 이용해 중독성을 유발한..

과학 상식 2025.02.17